본문 바로가기
경제/이슈 정리

트럼프 관세 유예? 미국, 전자·반도체 개별요율 관세로 1~2개월 내 부과 예고

by 인베스팅몬 2025. 4. 13.

3줄 요약

  • 미국 상무장관 “전자기기·반도체 관세는 일시 면제…한두 달 내 부과”
  • 스마트폰, 컴퓨터 등 4월 관세 예외 품목도 포함될 예정
  • 리쇼어링 명분 강화…공급망 재편·반도체 업종 영향 불가피

1. 관세 면제? 착각일 수 있다

 

 지난 4월 초, 트럼프 행정부는


 관세 부과 품목 중 컴퓨터, 스마트폰, 반도체 장비 등 일부 품목을 예외로 둔 바 있습니다.

 

 

 하지만 4월 13일,


 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이 ABC 인터뷰에서


 이렇게 밝혔습니다.

 

하워드 루트닉 (Howard Lutnick)

“지금은 제외지만, 전자·반도체 관세는 한두 달 안에 부과됩니다.”

 

 즉,

 

 지금 면제된 품목들도 반도체 관세 모델에 따라


 1~2개월 안에 다시 관세 부과 대상이 된다는 겁니다.


2. 왜 바꾸는 걸까?

 

루트닉 장관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.

 

  • “반도체, 플랫패널, 저장장치 같은 건
    미국 내 생산이 필수적이다”

 

  • “동남아 의존도를 줄이고,
    리쇼어링(Reshoring)을 강제하는 구조로 바꾼다

 

 즉, 이번 면제는 협상용 카드도 아니고,


 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조치입니다.


3. 그럼 어떤 품목이 다시 포함될까?

 

 루트닉이 언급한 관세 예정 품목들:

  • 스마트폰
  • 컴퓨터
  • 반도체 저장장치
  • 플랫패널 디스플레이
  • 태양광 셀 등

 

 이들 품목은 4월 초 관세에서 한차례 면제된 바 있으나


"반도체 관세" 체계 안에서 별도 적용될 예정


4. 투자자라면 지금 주목할 포인트

  • SOXX, SMH 등 반도체 ETF는 관세 재부과 가능성 반영 중
  • TSMC·삼성전자·SK하이닉스 등 생산 기지 다변화 전략 영향
  • 미국 내 설비 투자 확대 기업(인텔, 마이크론 등) 상대적 수혜 가능
  • 전자·IT 섹터의 공급망 리스크 확대 가능성
  • 단기 테마보다 리쇼어링 장기 구조 변화에 초점 맞춰야

✍ 이 글은 인베스팅봇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 
📢 투자 유의사항
 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 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