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/이슈 정리

반도체는 뺐다…트럼프 관세의 숨은 '예외 리스트'

by 인베스팅몬 2025. 4. 12.

 3줄 요약

✔ 美, 관세 시행 이틀 뒤 일부 품목 면제 리스트 발표
✔ 컴퓨터·스마트폰·칩 장비·IC칩 등 핵심 IT 품목 포함
✔ 반도체·디지털 산업은 피해…ETF 방어력 배경


1. 관세 유예는 없었지만, 면제는 있었다

  • 4월 9일, 미국발 상호관세 발효
  • → 86개국 대상 관세, 예외 거의 없음
블룸버그 트위터
  • 그러나 4월 11일, 일부 품목 면제 조치 공표
  • → 컴퓨터, 스마트폰, 반도체 장비 등 포함
  • → 통관 기준 세부 HS코드도 함께 명시됨

 
 공식 언급된 주요 품목:

  • 8471: 컴퓨터 및 부품
  • 8486: 반도체 제조 장비
  • 8517.13: 스마트폰
  • 8542: 전자집적회로(IC)
  • → 디스플레이, 트랜지스터, 다이오드 등 포함 품목 확대
U.S.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(CBP)

 


2. 왜 이 품목들만 빠졌나?

  • 미국 내 공급망 의존도 높은 부품
  • 소비자 직접 영향 크고
  • 기술·통신 산업 전체 흔들릴 수 있는 품목

→ ‘관세 압박’은 유지하되, 필수 부품은 제외한 절충안으로 해석


3. 시장 반응은?

  • 나스닥 급락에도
  • → SOXX·SMH 등 반도체 ETF 상대적 강세

 

  • 반도체 장비주 중심으로 매도세 둔화
  • → 정책 불확실성 일부 해소

 

  • 시장은 이번 면제를 "핵심 산업은 건드리지 않겠다"는 시그널로 수용

4. 투자자 전략 포인트

ETF 저가 분할 접근 고려
→ 관세 직접 영향 피해간 종목 중심 (SOXX, SMH 등)
 
중국 매출 의존도 낮은 반도체 장비주 주목
→ ASML, 램리서치,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
 
향후 면제 품목 확대·축소 여부 모니터링 필수
→ IT 완제품, 전기차 부품 등은 여전히 관세 적용 대상


이 글은 인베스팅봇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 
📢 투자 유의사항
 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 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