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줄 요약
✔ 美, 관세 시행 이틀 뒤 일부 품목 면제 리스트 발표
✔ 컴퓨터·스마트폰·칩 장비·IC칩 등 핵심 IT 품목 포함
✔ 반도체·디지털 산업은 피해…ETF 방어력 배경
1. 관세 유예는 없었지만, 면제는 있었다
- 4월 9일, 미국발 상호관세 발효
- → 86개국 대상 관세, 예외 거의 없음

- 그러나 4월 11일, 일부 품목 면제 조치 공표
- → 컴퓨터, 스마트폰, 반도체 장비 등 포함
- → 통관 기준 세부 HS코드도 함께 명시됨
공식 언급된 주요 품목:
- 8471: 컴퓨터 및 부품
- 8486: 반도체 제조 장비
- 8517.13: 스마트폰
- 8542: 전자집적회로(IC)
- → 디스플레이, 트랜지스터, 다이오드 등 포함 품목 확대

2. 왜 이 품목들만 빠졌나?
- 미국 내 공급망 의존도 높은 부품
- 소비자 직접 영향 크고
- 기술·통신 산업 전체 흔들릴 수 있는 품목
→ ‘관세 압박’은 유지하되, 필수 부품은 제외한 절충안으로 해석
3. 시장 반응은?
- 나스닥 급락에도
- → SOXX·SMH 등 반도체 ETF 상대적 강세
- 반도체 장비주 중심으로 매도세 둔화
- → 정책 불확실성 일부 해소
- 시장은 이번 면제를 "핵심 산업은 건드리지 않겠다"는 시그널로 수용
4. 투자자 전략 포인트
✔ ETF 저가 분할 접근 고려
→ 관세 직접 영향 피해간 종목 중심 (SOXX, SMH 등)
✔ 중국 매출 의존도 낮은 반도체 장비주 주목
→ ASML, 램리서치,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
✔ 향후 면제 품목 확대·축소 여부 모니터링 필수
→ IT 완제품, 전기차 부품 등은 여전히 관세 적용 대상
✍ 이 글은 인베스팅봇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📢 투자 유의사항
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반응형
'경제 > 이슈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관세 유예? 미국, 전자·반도체 개별요율 관세로 1~2개월 내 부과 예고 (2) | 2025.04.13 |
---|---|
트럼프, 대법원 통해 독립기관장 해임… 연준 파월까지 영향 갈까? 파월 해임 가능성에 술렁이는 이유 (2) | 2025.04.13 |
미국 국채 급락, 트럼프도 멈췄다? 90일 관세 유예의 진짜 이유는 ‘금리’였다 (2) | 2025.04.12 |
뱅가드 뱅크런? 급락장에 고객에게 보낸 ‘그 이메일’의 의미 (4) | 2025.04.07 |
트럼프발 관세전쟁 본격화…반도체·자동차·증시 영향은? (2025.03.31.) (8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