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/이슈 정리

미국 국채 급락, 트럼프도 멈췄다? 90일 관세 유예의 진짜 이유는 ‘금리’였다

by 인베스팅몬 2025. 4. 12.

✔  3줄 요약

  • 트럼프, 국채 금리 급등에 90일 관세 유예 결정
  • 금리 상승 → 미국 정부 이자 부담·신뢰도 하락 우려
  • 투자자는 국채 리스크 점검 + 안전자산 헷지 전략 필요

1. 트럼프가 관세를 접은 진짜 이유

 트럼프는 ‘90일 관세 유예’를 선언했습니다.


 대외적으론 협상 여지라고 말했지만,


 속내는 채권시장 반응 때문이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.

10년물 국채 금리 - 트레이딩뷰

  • 10년물 국채 금리, 4월 4일 이후 급등 → 4.51%까지 상승
  • 채권 가격은 일주일 만에 10% 가까이 하락
  • 30년물은 1982년 이후 최대 낙폭

 트럼프는 직접 “채권시장은 까다롭다”며 언급했습니다.


 주가 폭락은 무시했지만, 채권시장 반응은 예외였던 겁니다.


2. 왜 미국 국채 금리가 트럼프에겐 치명적인가?

미국 부채 구조 때문

미국 연방부채 - 트레이딩뷰

  • 미국 연방부채는 36조 달러 (GDP의 124%)
  • 2024년 국채 이자 지출만 1조1330억 달러 → 국방·의료보다 많음
  • 금리 0.1%P만 올라도, 이자 50조 원 증가

 

트럼프의 ‘부채 기반 부동산 투자 경력’

  • 트럼프는 누구보다 금리에 민감
  • 금리 상승 = 기업·가계 대출, 모기지 금리 상승 → 경제 전반 타격

 

신뢰 약화 → 수요 감소 → 금리 상승 가속화

  • 국채 금리 상승은 “미국은 믿을 수 없다”는 신호
  • 주요국이 미국 국채 매입 줄이면 더 큰 파장이 뒤따름

3. 투자 관점에서 보는 시사점

① 금리 변동은 ‘정치적 변수’로 확대 중

  • 트럼프의 관세 정책 → 금리 상승 유발
  • 국채금리는 단순한 금융 지표가 아닌 정책 결정 트리거

 

② 미국 국채, 여전히 안전자산일까?

  • 시티 “미국 국채, 더는 글로벌 안전자산이 아닐 수 있다”
  • 체제 전환(regime shift) 가능성 경고

 

③ 금리 방향성은 실물보다 심리

  • 투자자 심리 악화 시 → 금리 급등 → 시장 충격 반복
  • 관세→무역둔화→세수감소→국채 발행↑→금리↑… 악순환

4. 결론 – 금리가 트럼프의 아킬레스건이 될 수도 있다

  • 트럼프의 ‘관세+긴축’ 전략은 국채시장과 충돌
  • 채권 매도 = 미국 신뢰 붕괴의 시작일 수 있음
  • 금리 안정은 트럼프 재정정책의 ‘기초 체력’

이 글은 인베스팅몬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
 

📢 투자 유의사항
 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 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 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