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/이슈 정리

트럼프, 철강 관세 50% 인상…무역전쟁 재점화에 증시 긴장

by 인베스팅몬 2025. 6. 1.

핵심 요약

 

 - 트럼프, 6월 4일부터 철강·알루미늄 관세 25% → 50% 인상 발표

 

 -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지지…국내 산업 보호 명분 강화

 

 - 관세 유예 → 무효 판결 → 인상 강공…국제사회 반발 고조

 

 - 한국·EU·호주 수출 타격 예상…관련주·ETF 변동성 주의


1. 무슨 일이 벌어졌나?

 

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월 30일(현지시간),

 

  펜실베이니아주 US스틸 공장에서 "철강·알루미늄 관세를 50%로 인상한다"고 깜짝 발표했습니다.

 

US스틸에 나타난 트럼프 대통령 (출처: 로이터)

 

  이는 기존 25%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.

 

  • 시행일: 6월 4일 수요일부터
  • 명분: 외국산 저가 철강 유입 차단, 미국 제조업 보호
  • 배경: 법원의 관세 무효 판결에 대한 강력한 대응
  • 정치적 맥락: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시기와 맞물림

 

  트럼프는 "관세는 가장 아름다운 단어"라며 노골적으로 관세 도구화를 선언했습니다.


2. 글로벌 반응과 파장

 

 EU·캐나다·호주 등 동맹국 반발

  • EU: "불공정 조치, 7월 14일 보복관세 발효 예고"
  • 캐나다: "산업·노동자에 대한 직접 공격"
  • 호주: "우방국이 취할 행동 아냐"

2024년 미국의 철강 알루미늄 수입 상위 10개국 (출처: 머니투데이)

 대미 철강 수출국 영향 확대

  • EU 철강 수출의 20%가 미국행
  • 한국, 수출 감소+협상 압박 직면
  • 대중국 간접 영향까지 포함 시 충격 확대

3. 한국에 미치는 영향

 

  한국은 철강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로,

 

  트럼프의 기습 인상은 새 정부 출범 직후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
 

월별 대미 철강 수출량 (출처: 매일경제, 철강협회)

 

  • 5월 한국 전체 수출 -1.3%, 철강 -12.4% 급감
  • 대미 철강 수출 100억 달러 → -8.1% 감소
  •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 임박
  • 한국 정부, '줄라이 패키지' 제안…협상 여지 모색 중

 

  관세 협상 마감 시한은 새 정부 출범 후 한 달도 채 남지 않아,

 

  협상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.


4.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

 

 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

구분 영향 관련 종목
미국 철강주 보호 수혜 기대 X, NUE, SLX ETF 등
한국 철강주 수출 둔화 우려 POSCO홀딩스, 현대제철
무역갈등 수혜 방산·달러강세 LMT, RTX, DXY ETF 등
리스크 회피 금·국채 ETF GLD, TLT, VIXY

US스틸(X) 주가 추이 (2025.1.2~5.30)
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 주가 추이 (2025.1.2~5.30)

 

  리밸런싱 전략

  • 미국 철강주 비중 확대 검토 (내수 기반 수혜)
  • 한국 철강주 보유자, 단기 리스크 헤지 필요
  • 금·달러 ETF로 분산 투자 고려
  • 무역갈등 수혜주 중심 ETF 관심 필요 (SLX, ITA 등)

5. 결론

트럼프發 철강 관세 폭탄…수출국 직격탄, 증시·ETF 변동성에 대비 필요


✍ 이 글은 인베스팅몬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
 

📢 투자 유의사항
 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 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  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