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/이슈 정리

무디스, 美 신용등급 강등…국채금리 급등·증시 충격 현실화?

by 인베스팅몬 2025. 5. 18.

핵심 요약

 - 무디스, 미국 신용등급 'Aaa → Aa1' 강등…관세 리스크·재정적자 우려 반영

 

 - 미국 국채금리 상승, 안전자산 신뢰도 흔들…증시 하방 압력 확대 가능성

 

 - 달러 약세·금 상승 흐름 주목…방산, 셀아메리카 재개 가능성도 검토 필요


1. 신용등급 강등?

 

  2025년 5월 16일,

 

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

 

  기존 Aaa(최고등급)에서 Aa1로 한 단계 강등.

 

 

주요 근거:

  • 미 연방정부 부채 급증
  • 재정 적자 확대 (2024년 적자: 1조8,300억 달러)
  •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+관세 정책 불확실성
  • 국채 이자 부담 증가 (GDP 대비 부채 비율 123%)

 

미국 국가신용등급 (출처: 연합뉴스)

 

“수익은 줄고, 씀씀이는 커진다”…재정 무책임 우려 심화

 

  무디스는 이번 등급 강등과 동시에 등급 전망은 '안정적'으로 부여.


2. 왜 중요한가?

 

 1) 미국 국채금리 급등

  • 10년물 수익률 4.45%대까지 상승
  • 신용등급 하향 → 국채 매도세 → 수익률 상승

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 (2025.1~)

 

 2) 달러 신뢰도 흔들

  • 달러화 약세 전환 흐름 → 안전자산 프리미엄 축소

달러 인덱스 (2025.1~)

 

 3) '셀 아메리카(Sell America)' 재개 조짐

  • 증시, 국채, 달러 등 미국 자산 전반에서 이탈 흐름 발생 가능성
  • 과거 피치·S&P 신용강등 당시에도 하방 압력 가중

 

 4) 관세 정책과 신용 불안 동시 반영

  • 무디스가 직접적으로 관세 불확실성을 언급
  • “미국 성장세 둔화 우려” + “장기금리 상승” 복합 리스크

3. 증시·자산시장 영향은?

 

자산 종류 영향
미국 주식 성장주, 인프라주 중심으로 하방 압력 확대 가능성
안전자산 수요 증가, 온스당 $2,400 돌파 가능성도 제기
달러 글로벌 시장 내 매도 우위 전환 흐름 주목
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 지속, 장기채 중심 매도세 유입 가능
방산주 정치 불확실성 고조 시 방산주 방어적 성격 부각

4. 투자 체크리스트

 

 - 미국 국채 금리 상승 추이 체크 (10년·30년물)

 

 - 금 ETF(GLD, IAU), 달러 인버스 ETF(UUP 역방향) 모니터링

 

 - 리스크 헷지 자산: SH(인버스 S&P), VIXY(변동성 추종 ETF)

 

 - 미국 내수·인프라 기업 하방 압력 주의

 

 - 금리 민감주(부동산·배당주) 리밸런싱 고려


✍ 이 글은 인베스팅몬이 작성했으며,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.

 

📢 투자 유의사항
 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, 특정 금융 상품이나 ETF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
 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, 투자 전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.
  시장 상황 및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권장합니다.

 

 

 

반응형